2025년 4월 24일
GA4의 네이버 유입, 광고인지 꼭 확인하세요
GTM에서 네이버 유입 정보를 미리 세팅하지 않았다면 GA4 보고서에서 네이버를 통해서 들어오는 홈페이지 유입이 광고 검색 클릭인지 자연 검색인지 확인하기가 어려워요. 이 글에서는 BigQuery와 SQL 분석으로 유입 경로(page_referrer)에 포함된 정보를 자세히 분석해 검색어를 추출하고 유입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QL 지식이 필요하지만 함께 제공해 드리는 코드를 복붙하여 활용해 보실 수 있어요.
네이버 광고 vs 자연 유입 URL 구조
네이버에서 유입된 URL은 다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네이버 광고 유입 예시
네이버 광고에서 자동추적 URL 파라미터를 허용하는 경우, 우리 회사(쇼핑몰) 홈페이지에 사용자가 도착할 때 관련 정보가 함께 저장됩니다. 아래는 텀타 고객사 중 뭉클이라는 프리미엄 유아동복 중고 거래 플랫폼의 실제 유입 경로 일부를 발췌한 사례 입니다.
이 유입경로에 포함된 다음 키 값으로 네이버 광고 유입 임을 확인할 수 있어요.
cafe_mkt=naver_ks: 네이버 쇼핑 광고
n_query={검색어}: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
n_ad={광고 id}
n_campaign_type=2: {1: 파워링크, 2: 쇼핑검색}
그 밖에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자동 추적 파라미터는 네이버 통합 광고주센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하세요.
즉, 유입 경로에 위와 같은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면 광고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 입니다. 해당 정보는 GTM/GA4에서 분류해 내기 어렵기 때문에 자칫 자연 유입 트래픽으로 오해할 수 있어요.
(2) 네이버 자연 유입 예시
아래는 개인 블로그 유입 경로에서 추출한 사례입니다.
이 유입 경로에는 네이버 광고에서 제공하는 자동 추적 파라미터 대신 검색어 파라미터가 있어요.
where=nexearch: 통합검색 (post: 블로그, cafe: 카페)
sm=top_hty: 일반 검색창 (tab_rbk: 연관 검색어, tab_sug.pre: 자동완성 검색어)
query=맥북+윈도우: 사용자 검색 키워드
oquery=한글깨짐: 사용자 이전 검색어 (없을 때도 있어요)
이 정도면 유저의 검색 행동을 해석할 수 있겠죠.
빅쿼리에서 SQL 쿼리로 검색어 추출
GA4 BigQuery 테이블에서는 `event_params` 배열에서 `page_referrer`를 꺼낸 뒤, `query` 또는 `n_query` 값을 정규표현식으로 추출합니다.
SQL 처음 접하시거나 너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텀타 아카데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SQL 기초 문법 강의 수강을 추천 드려요.
(1) 광고 유입에서 검색어 추출하기
GA4에서 빅쿼리 보내는 이벤트 테이블은 모두 동일한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아래 코드를 그대로 쓰면서,
"FROM `your_project.analytics_xxxxxx.events_20250423`"이 부분에 관리하는 프로젝트 데이터 명을 넣으시는 것 주의하세요.
빅쿼리에서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2) 자연 유입에서 검색어 추출하기
자연 유입 파라미터에 맞게 약간 변형된 코드인데 원리는 동일합니다.
위에서 SQL로 정보를 추춣면서 "traffic_type"에 이미 ad, organic으로 구분 하도록 명령을 추가 했어요. 이 정보를 가지고 루커 스튜디오와 연동하면 광고 유입인지, 자연 유입인지 나누어서 분석이 가능합니다.
빅쿼리에서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아주 약식으로 구현한 코드이니, 필요한 정보를 더 넣으시면 풍성한 분석이 되겠죠.

✨ 마무리
GA4 UI에서는 page_referrer나 n_query, query 값을 직접 분석하기 어렵지만, BigQuery로 내보내면 자유롭게 가공해서 광고 유입과 자연 검색 유입을 구분하고, 검색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마케팅 채널의 전환율 분석, 브랜드 검색 추이 분석 등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